
우리 학회의 내실화와 신규회원 확대를 위한 『KIM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선정에서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남대현 교수가 10월 소재혁신 신진연구자로 선정되었다.
남대현 교수는 전기에너지를 활용하여 이산화탄소 (CO2)로부터 친환경 연료 및 화학원료를 생산하는 전기화학 CO2 환원 촉매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전기화학 CO2 환원은 CO2의 화학적 전환과 더불어 재생가능 에너지의 간헐성과 지역적 편차를 극복하기 위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고에너지 밀도의 에너지 운반체를 생산할 수 있어 탄소중립을 위한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전기화학 CO2 환원에서 특정 화합물을 높은 선택성과 효율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촉매 반응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나노스케일 금속 기반 촉매 개발이 필수적이다. 특히 에틸렌 (C2H4)과 에탄올 (C2H5OH)과 같은 C2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CO의 이량체화를 기반으로 하는 C-C 커플링을 유도할 수 있는 구리 (Cu) 활성점 기반 촉매가 필수적이다. 야금학 원리를 바탕으로 Cu 합금의 혼화성 한계를 초월한 계면을 유도하여 에틸렌/에탄올 선택성을 제어하고, 전기화학 반응 중 발생하는 촉매 표면 구조 및 상변화인 재건현상 원리를 규명하여 촉매의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촉매 소재를 전극, 전해조에 이르는 멀티스케일 연구로 확장하여 CO2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하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차세대 탄소 포집 활용 (CCU) 기술을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KIM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선정은 차세대 신진연구자를 격려 및 발굴하기 위해 매월 선정하여, 선정된 신진연구자께는 선정 당해 포함 2년간 회비 지원, 회비면제 기간 중 춘/추계학술대회 등록비 지원, ‘소재혁신 신진연구자’ 현판 제공 등을 통해 학회 구성원으로 활동하고 학회를 기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 평의원 2026년도 임원후보자 공고 및 임원선거 안내 2025.10.01
- 학술대회 2025년도 추계학술대회 일정집 안내 2025.09.23
- 학술대회 2025년도 추계학술대회 인력채용 부스 운영 안내 2025.09.23
- 분과행사 제102회 철강기술심포지엄 개최 안내 (2025.10.30) 2025.09.22
- 기타 [호암재단] 2026 삼성호암상 후보자 추천 공고 (~10.31) 2025.09.18
한국재료연구원에서는 우주항공 소재산업 발전포럼을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제1회 우주항공 소재산업 발전 포럼」
• 행사명 : 제1회 우주항공 소재산업 발전 포럼
• 일시 : 2025년 10월 23일 (목) 13:00~18:00
• 장소 : 한국재료연구원 본관 대강당
• 주관 : 한국재료연구원
• 후원 : 경남과총
• 프로그램 : 첨부파일 참조
- [한국공학대학교 중소기업훈련지원센터] 여성공학인 산업군별 직무교육 안내 (신청: ~ 10.16(목)까지) 2025.09.24
- [화학경제연구원] 제12회 미래형 자동차 소재 및 경량화 기술세미나 (10.30, 전경련회관) 2025.09.22
-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과학기술분야 재직자 대상 「과학기술과 ESG」 교육 2025.09.10
- [한국화학연구원] ChemDX 해커톤 2025 개최 안내 (8.19-22, 연세대) 2025.07.22
- [산업교육연구소] 차세대 배터리- 화재 안전ㆍ성능 개선을 위한 신기술 개발과 주요 이슈 세미나 개최 안내 (7.18) 2025.07.03
우리 학회의 내실화와 신규회원 확대를 위한 『KIM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선정에서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남대현 교수가 10월 소재혁신 신진연구자로 선정되었다.
남대현 교수는 전기에너지를 활용하여 이산화탄소 (CO2)로부터 친환경 연료 및 화학원료를 생산하는 전기화학 CO2 환원 촉매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전기화학 CO2 환원은 CO2의 화학적 전환과 더불어 재생가능 에너지의 간헐성과 지역적 편차를 극복하기 위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고에너지 밀도의 에너지 운반체를 생산할 수 있어 탄소중립을 위한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전기화학 CO2 환원에서 특정 화합물을 높은 선택성과 효율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촉매 반응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나노스케일 금속 기반 촉매 개발이 필수적이다. 특히 에틸렌 (C2H4)과 에탄올 (C2H5OH)과 같은 C2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CO의 이량체화를 기반으로 하는 C-C 커플링을 유도할 수 있는 구리 (Cu) 활성점 기반 촉매가 필수적이다. 야금학 원리를 바탕으로 Cu 합금의 혼화성 한계를 초월한 계면을 유도하여 에틸렌/에탄올 선택성을 제어하고, 전기화학 반응 중 발생하는 촉매 표면 구조 및 상변화인 재건현상 원리를 규명하여 촉매의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촉매 소재를 전극, 전해조에 이르는 멀티스케일 연구로 확장하여 CO2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하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차세대 탄소 포집 활용 (CCU) 기술을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KIM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선정은 차세대 신진연구자를 격려 및 발굴하기 위해 매월 선정하여, 선정된 신진연구자께는 선정 당해 포함 2년간 회비 지원, 회비면제 기간 중 춘/추계학술대회 등록비 지원, ‘소재혁신 신진연구자’ 현판 제공 등을 통해 학회 구성원으로 활동하고 학회를 기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 특별회원사 KAI, AI기반 회전익 무인자율전투체계 개발 로드맵 발표 2025.09.30
- 특별회원사 두산에너빌리티, GS반월열병합발전과 발전소 현대화 협력 MOU 체결 2025.09.30
- 회원 석현광 학술부회장, 동아사이언스지에 "AI 전환에도 골든타임이 있다" 특별기고 2025.09.26
- 회원 오명훈 회원 (금오공대), 경북산학융합원장 선임 2025.09.25
- 회원 김현우 회원 (한양대), 한국센서학회 2026년 수석부회장 및 차기 회장 선출 2025.09.25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는 다음과 같이 2025년 4분기 1차수 계약직 (행정, 연구직)을 공개모집합니다.
1 . 채용규모 및 분야
연구직 - 수도권(서울, 안산)) : 11명
연구직 - 충청권(아산, 서천) : 3명
연구직 - 호남권(광주, 군산) : 2명
연구직 - 영남권(진주, 사천, 대구) : 13명
행정직 - 영남권(진주, 사천, 대구) : 3명
2. 접수방법 및 기간
· 공고·접수기간 : ’25.09.29.(월) ~ ’25.10.15.(수) 13시까지
· 접수방법 : 채용사이트에서 온라인 지원 [클릭]
3. 기타 세부내용은 채용사이트[클릭]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채용정보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2026학년도 1학기 전임교원 공개 채용 ( ~ 10.15(수) 18:00) 2025.10.02
- 채용정보 [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2026학년도 전기 신입생 모집요강 ( ~ 10. 29(수) 마감) 2025.09.25
- 채용정보 [인하공업전문대학] 전임교원 초빙 안내 (~9.29, 17:00) 2025.09.23
- 채용정보 [국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2026학년도 1학기 전임교원 초빙 ( ~ 9월 30일[화] 11:00) 2025.09.19
- 채용정보 2025년 9월 고공단 개방형 직위 선발 안내 ( 9.1 ~ 9.11, 18:00) 2025.09.01